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29일(금)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자사업의 벤처펀드 선정을 마쳤다고 밝혔다.
*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딥테크 스타트업 등에 중점 투자하기 위하여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과 정부가 함께 조성하는 벤처펀드('24년~)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27개 민간 출자자가 2,488억원을, 모태펀드가 1,716억원을 출자하여 총 6,401억원 규모로 결성될 예정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초격차·글로벌 분야 2,625억원,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2,170억원, 세컨더리 분야 1,606억원 규모이다.
< 2025년 스타트업코리아펀드 분야별 선정 결과 (단위: 억원, 개) >
분 야 | 최종 선정 | 주목적 투자분야 | |||
민간출자 | 모태출자 | 결성예정 | 펀드 수 | ||
초격차· 글로벌 |
1,220 | 765 | 2,625 | 10 | 글로벌 진출이 기대되는 10대 초격차 분야 스타트업 |
오픈 이노베이션 |
868 | 651 | 2,170 | 9 | 벤처·스타트업과의 기술제휴 등 오픈이노베이션 목적 투자 |
세컨더리 | 400 | 300 | 1,606 | 3 |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구주 등 인수 |
계 | 2,488 | 1,716 | 6,401 | 22 | - |
* 출자 이력 보유 비금융 일반법인(14개): ('24) 210억원 → ('25) 1,375억원 (+7배↑)
출자 이력 보유 금융기관(5개) : ('24) 2,989억원 → ('25) 4,368억원 (+46%)
해외기업이 처음으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에 참여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도쿄세경센터를 비롯하여 재일 동포기업 및 한일협력기업 연합이 고국의 벤처·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했으며, 일본 최대 CRO* 기업인 CMIC가 국내 바이오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나섰다.
* 신약 임상시험 대행 수탁기관,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아울러, 올해 신설된 '오픈이노베이션' 분야에 9개 벤처펀드가 신규 조성되어, 뷰티·바이오·반도체·기후테크·AI 등 우리나라 미래 성장을 이끌 전략 분야에서 개방형 혁신의 중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콜마와 코스맥스가 각각 200억원 규모로 벤처펀드를 조성하여 K-뷰티 브랜드사 및 뷰티테크 스타트업 등 화장품 분야 생태계 전반에 투자할 예정이며,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15개 회원사와 함께 제약바이오 산업 성장을 이끌 유망 후배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NH농협금융그룹, 포스코홀딩스, LX세미콘, 현대해상, GS건설 등이 이번 펀드 출자를 계기로 사업 전반에서 딥테크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성숙 장관은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가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업·금융권 등 다양한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면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와 같이 모태펀드가 플랫폼으로서 보다 많은 기관의 벤처투자 참여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들이 보다 과감한 출자에 나설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벤처투자 관련 제도 개선도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