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2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요약)◇ 전 국민(10세 이상) - 국민의 하루 중 절반(11시간 32분)은 수면, 식사 및 개인유지 등 필수시간에 사용 - 수면시간은 조사 이래 최초 감소, 잠 못 이룬 사람 비율은 상승(4.6%p) - 최근 5년 사이 평일 기준, 식사한 사람 비율은 아침·점심·저녁 모두 하락한 반면, 식사한 사람 중 혼자 식사한 비율은 세끼 모두 상승 - 여가시간은 5시간 8분, 그 중 미디어 이용이 2시간 43분, 교제 및 참여 1시간임 - 가장 기분 좋은 행동은 식사하기, 대면교제, 걷기산책 등으로 나타남 - 5년 사이 필수시간, 의무시간, 여가시간 모두에서 ICT기기 사용시간이 증가◇ 학생 - 최근 5년 사이 평일기준 학교활동 학습시간은 초등학생만 유일하게 증가, 학교활동 외 학습시간은 초·중·고등학생은 증가한 반면 대학생이상은 감소 ◇ 취업자 - 평일 오후 5시 이후 일한 사람 비율은 5년 전보다 남녀 모두 하락 ◇ 고령자 -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보다 필수·여가시간이 더 많음◇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 - 5년 전보다 맞벌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은 증가(13분), 아내는 감소(-17분)◇ 미취학 가구원이 있는 가구 - 미취학 가구원이 있는 가구는 없는 가구보다 가사노동시간이 2시간 8분 더 많음◇ 시도별 - 일 관련 시간은 경북, 학습과 가사노동시간은 세종이 가장 많음*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