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2차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개최 |
- 관세청이 의장으로서 아·태지역 역내 무역원활화를 위한 논의 주도 - '인공지능(AI)과 관세행정'을 주제로 미래 관세행정 혁신 방향을 모색 |
□ 관세청은 아·태지역 21개 관세당국과 국제기구*,, 그리고 민간 기업을 초청하여 7월 28일(월)부터 8월 1일(금)까지 5일간 인천 송도에서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2차 통관절차소위원회(SCCP)'를 개최한다.
* 세계관세기구(WCO),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동남아국가연합(ASEAN) 등 국제무역 분야 4개 기구
** 아·태지역 최대의 경제협력체로, 우리나라, 미국, 일본, 중국 등 총 21개 회원이 참여
ㅇ 통관절차소위원회는 아·태지역 역내 무역원활화, 지속 가능한 성장 등 아·태지역 관세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체로, 지난 2월 경주에서 개최된 제1차 통관절차소위원회와 마찬가지로 관세청이 의장으로서 이번 회의를 주관한다.
ㅇ 특히 이번 회의는 인공지능(AI)과 관세행정 혁신을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공급망 관리에 활용한 경험을 공유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한 미래 관세행정 혁신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 7월 28일(월)과 29일(화)에는 통관절차소위원회 부대행사로 전자상거래 워크숍,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세관-민간 대화, 그리고 국제원산지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ㅇ 전자상거래 워크숍에서는 △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글로벌 동향 및 각 세관당국의 당면과제를 공유하고 △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도입과 민관협력 활성화를 통한 전자상거래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ㅇ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세관-민간 대화에서는 △ 공공과 민간 부문 상호 간 데이터 연계 △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통한 공급망 위험관리 △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 활용의 도전과제와 관련하여 세관과 민간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ㅇ 국제원산지 세미나에서는 △ 각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의 원산지 검증 절차를 소개하고 △ 원산지관리 시스템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등 우리기업이 원산지 관리부터 원산지 검증까지 대비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 7월 30일(수)부터 8월 1일(금)까지 3일간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제2차 통관절차소위원회 본회의가 진행된다.
ㅇ 이번 본회의에서는 △ 인공지능(AI) 기반 공급망 관리 혁신과 관세행정 디지털화 △ 글로벌 무역의 포용성 증진 △ 세관 효율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등 다양한 의제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게 된다.
ㅇ 또한 '전자상거래 가이드라인*' 채택을 통해 전자상거래 물품의 원활한 통관을 지원하는 한편,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운영 규정 및 전략계획**을 개정하여 인공지능(AI) 능력배양 등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 간 인공지능(AI) 협력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 전자상거래 통관시스템 개선, 관세행정 디지털화 노력 촉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 간 협력 강화를 명문화
**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운영 규정은 향후 4년간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비전, 미션, 개최 주기 등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안을 규정한 문서이며, 전략계획은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회의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우선과제와 목표를 제시
ㅇ 이와 별도로 본회의 참석자들은 인천세관 통합검사센터를 방문하여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및 우범화물 검사 현장을 견학하고, 무역원활화를 위한 세관당국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진다.
□ 또한 관세청은 통관절차소위원회(SCCP) 기간동안 인공지능(AI) 관세행정 전시회를 개최한다.
ㅇ 이번 전시회는 우리나라 인공지능(AI) 관세행정의 현황과 미래 혁신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는 한편, 인공지능(AI) 기반 품목분류, 실시간 인공지능(AI) 통역 등 관세행정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다양한 혁신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 이명구 관세청장은 "국제 통상환경이 다극화되고 불확실성이 구조화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의 도입은 관세행정 체계 개편을 이끄는 전략적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ㅇ "이번 통관절차소위원회를 통해 인공지능(AI) 관세행정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들 간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함으로써 역내 관세행정 효율화 및 무역 촉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