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상반기 및 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
- 상반기 매출 7.8% 증가, 오프라인 0.1% 감소 · 온라인 15.8% 증가 - '20년 이후 오프라인 상반기 기준 첫 역성장, 온-오프라인 성장률 격차 확대 |
산업통상자원부는 '25년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의 오프라인 매출은 0.1% 감소하고 온라인은 15.8%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오프라인 매출의 마이너스 성장은 코로나 시기였던 '20년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처음이다.
< 오프라인 부문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상반기 |
△5.6 |
8.6 |
8.4 |
2.1 |
2.9 |
△0.1 |
연 간 |
△3.6 |
7.5 |
8.9 |
3.7 |
2.0 |
- |
'21~'25년 상반기 성장 추세
지난 5년간 오프라인 업태는 명품 소비, 근린형(집근처) 업태 선호 등에 따라 백화점, 편의점, 준대규모점포 중심으로 성장을 했으며, 1인 가구 확대에 따른 소량 구매 추세와 온라인 장보기 확대 등으로 대형마트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온라인은 상품 부문 뿐 아니라 e-쿠폰, 여행·문화상품, 배달 서비스 등 서비스 부문의 확대로 매년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
< '21~'25년 상반기 매출 증감률(%) 추이 (전년 동기 대비) > |
|
|
|
|
|
'25년 상반기 매출동향
< 업태별 매출 성장률 >
상반기 오프라인(△0.1%)은 1월 설 특수, 5월 가정의 달을 제외하고 감소세를 보여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반면 온라인(15.8%)은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해 온-오프라인 부문의 성장률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 ('23.上) 5.1%p → ('24.上) 11.9%p → ('25.上) 15.9%p
소비심리 위축, 온라인 구매 대체, 매장 수·방문고객(구매건수)의 지속 감소 등으로 대형마트(△1.1%), 편의점(△0.5%)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고, 명품 소비 증가로 백화점(0.5%)은 소폭 증가했다. 반면 점포가 꾸준히 늘어난 준대규모점포(1.8%)는 집밥 수요 증가, 식료품 물가 상승 등으로 플러스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24년 및 '25년 상반기 매출 비중 및 매출 증감률>
구분 |
'24년 상반기 |
'25년 상반기 |
||
매출 비중 |
매출 증감률 |
매출 비중 |
매출 증감률 |
|
대형마트 |
12.0% |
△0.8% |
11.0% |
△1.1% |
백 화 점 |
17.9% |
3.1% |
16.7% |
0.5% |
편 의 점 |
17.3% |
5.2% |
16.0% |
△0.5% |
S S M |
2.8% |
4.4% |
2.7% |
1.8% |
오프라인 합계 |
50.1% |
2.9% |
46.4% |
△0.1% |
온라인 합계 |
49.9% |
14.8% |
53.6% |
15.8% |
전체 |
100.0% |
8.5% |
100.0% |
7.8% |
* (분기 추이) 대형마트 5분기 연속(-), 편의점 2분기 연속(-), 준대규모점포 9분기 연속(+)
< 상품군별 매출 증감율 >
집밥 수요, 서비스 구매 확대 등으로 식품(8.3%), 서비스/기타(28.8%), 생활가정(3.7%)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특히 온라인은 서비스/기타(57.6%)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며, 식품 부문에 있어서도 온라인 부문(19.6%)은 오프라인의 식품(0.6%) 부문 매출 증가세를 크게 앞질렀다. 한편, 패션/잡화(△2.6%), 아동/스포츠(△2.9%) 분야는 감소했다.
<'25년 상반기 전년동기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문화 |
패션/잡화 |
아동/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
전체 (비중,%) |
7.8 (100) |
1.6 (10.7) |
△2.6 (11.1) |
△2.9 (4.5) |
8.3 (38.5) |
3.7 (12.2) |
28.8 (17.1) |
5.0 (5.9) |
|||
오프라인 (비중,%) |
△0.1 (100) |
△9.3 (2.3) |
△5.3 (12.0) |
△3.6 (4.2) |
0.6 (46.2) |
△2.7 (8.7) |
1.6 (15.0) |
5.0 (11.8) |
|||
온라인 (비중,%) |
15.8 (100) |
가전전자 |
도서문구 |
패션의류 |
화장품 |
아동유아 |
스포츠 |
|
|
|
|
2.4 (16.1) |
6.2 (1.9) |
△6.7 (5.5) |
8.6 (5.2) |
5.5 (2.8) |
△11.2 (2.1) |
19.6 (32.1) |
7.3 (15.2) |
57.6 (19.0) |
- |
< 업태별 매출 비중 >
매출 비중은 온라인(3.7%p)은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1.0%p), 백화점 (△1.2%p), 편의점(△1.3%p), 준대규모점포(△0.1%p)는 모두 감소했다.
|
< '24년 및 '25년 상반기 업태별 매출 구성비(%) > |
|
|
|
|
||
'24년 상반기 업태별 매출 구성비 |
'25년 상반기 업태별 매출 구성비 |
||
|
|
'25년 6월 매출동향
< 업태별 매출 성장률 >
'25년 6월 주요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매출은 1.1% 감소, 온라인 매출은 15.9%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출은 대형마트(△2.8%), 백화점(△0.9%)이 마이너스로 전환했으며, 편의점(△0.7%)은 3개월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반면, 준대규모점포(2.1%)는 나홀로 4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온라인 매출은 통계작성 이래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유통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전체 |
6.3 |
9.2 |
6.7 |
6.7 |
8.0 |
8.9 |
11.7 |
4.4 |
9.2 |
7.0 |
7.0 |
7.3 |
오프라인 |
△3.0 |
5.0 |
△0.9 |
0.0 |
3.9 |
△0.3 |
8.8 |
△7.7 |
△0.2 |
△1.9 |
0.9 |
△1.1 |
온라인 |
16.9 |
13.9 |
15.7 |
13.9 |
11.8 |
18.8 |
14.6 |
16.7 |
19.0 |
15.8 |
13.0 |
15.9 |
<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
오프라인은 명품(2.9%)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군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했고, 온라인은 서비스(38.7%), 식품(24.1%), 생활가정(11.9%) 중심으로 성장세를 유지했다. 온라인의 패션/의류(△0.8%)는 감소폭이 다소 줄었으며, 화장품(9.0%)은 높은 성장세를 꾸준히 보였다.
또한 식품(9.5%)의 경우 온라인(24.1%)이 크게 성장한 반면 오프라인(△0.2%)은 감소하여 온라인 식품구매가 활발함을 알 수 있다.
* 식품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율(%) : 대형마트(0.5), 백화점(1.3) 편의점(△1.7) SSM(2.6)
<'25년 6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문화 |
패션/잡화 |
아동/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
전체 (비중,%) |
7.3 (100) |
△0.6 (9.9) |
△1.4 (11.3) |
△2.0 (4.5) |
9.5 (38.9) |
6.2 (12.8) |
20.4 (16.9) |
2.9 (5.6) |
|||
오프라인 (비중,%) |
△1.1 (100) |
△16.9 (1.9) |
△6.3 (11.7) |
△4.6 (3.9) |
△0.2 (46.0) |
△3.9 (9.0) |
2.3 (15.6) |
2.9 (12.0) |
|||
온라인 (비중,%) |
15.9 (100) |
가전전자 |
도서문구 |
패션의류 |
화장품 |
아동유아 |
스포츠 |
|
|
|
|
0.4 (15.3) |
9.6 (1.6) |
△0.8 (5.8) |
9.0 (5.2) |
8.2 (2.7) |
△8.5 (2.3) |
24.1 (32.8) |
11.9 (16.2) |
38.7 (18.1) |
- |
< 업태별 매출 비중 >
오프라인 유통의 경우 대형마트(△1.1%p), 백화점(△1.4%p), 편의점(△1.4%p), 준대규모점포(△0.1%p) 등 모든 업태에서 감소하여 전체의 46.4% 였으며('24.6월 50.4%), 온라인 유통은 전년 동월 대비 4%p가 증가한 53.6%를 기록했다.
* 오프라인 13개사, 온라인 10개사 기준
<오프라인⋅온라인 월별 매출 비중 (단위 : %)>
구분 |
'24년 |
'25년 |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오프라인 |
50.4 |
48.7 |
50.3 |
50.3 |
48.1 |
47.0 |
47.3 |
48.2 |
44.4 |
46.5 |
45.6 |
46.9 |
46.4 |
온라인 |
49.6 |
51.3 |
49.7 |
49.7 |
51.9 |
53.0 |
52.7 |
51.8 |
55.6 |
53.5 |
54.4 |
53.1 |
53.6 |
|
<'24년과 '25년의 6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
'24년 6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25년 6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 오프라인 점포수 / 점포당 매출 / 구매건수 >
전년 동월 대비 오프라인 점포수는 대형마트(△1.1%), 백화점(△5.0%), 편의점(△1.3%)은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준대규모점포(2.8%)는 증가했다.
점포당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백화점(4.3%), 편의점(0.6%)은 증가했고, 대형마트(△1.7%), 준대규모점포(△0.6%)는 감소했다.
<'25년 6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개)>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점포당 매출 증감률 |
3.7 |
△1.7 |
4.3 |
0.6 |
△0.6 |
점포 수 증감률 |
△1.2 |
△1.1 |
△5.0 |
△1.3 |
2.8 |
점포 수(개) |
49,678 |
371 |
57 |
48,057 |
1,193 |
오프라인의 구매건수는 전월과 유사하게 대형마트(△3.8%), 백화점(△4.0%), 편의점(△3.2%)은 감소했고, 준대규모점포(1.6%)*는 증가하여 전체 3.0% 감소했다.
* '23. 4월 이후 26개월 연속 구매건수 플러스 성장
구매단가는 대형마트(1.0%), 백화점(3.2%), 편의점(2.5%), 준대규모점포(0.6%) 등 모두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2.0%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대형마트의 구매건수는 줄고 SSM의 구매건수는 늘어 대형마트보다 SSM과 같은 근린형(집근처) 점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은 구매건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가품 중심의 구매가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년 6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구매건수 |
△3.0 |
△3.8 |
△4.0 |
△3.2 |
1.6 |
구매단가 |
2.0 |
1.0 |
3.2 |
2.5 |
0.6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