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비만 예방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보건의료포럼 개최
-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현황과 문제점 공유 및 해결방안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8월 27일(수) 국회의원회관에서「소아·청소년 비만 현황 공유 및 예방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보건의료포럼*을 개최한다.
* 국립보건연구원, 국회의원 이주영,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공동 주최
소아·청소년기 비만은 성인 비만이나 주요 만성질환으로 이어져 향후 더 큰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최근 소아·청소년기 비만율이 급증하고, 지역 간 격차도 커지고 있어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대응 전략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은 과체중, 비만 ('23 비만팩트시트), (지역별) 충북 26.9%, 강원 27.3%, 서울 15% 등 ('23 비만팩트시트)
이번 포럼에서는 그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준비중인 소아비만 R&D 계획을 포함하여 ▲「국내 소아청소년 현황과 문제 상황」(연세대학교 김현창 교수) 기조 발언을 시작으로 ▲「소아·청소년 비만 진료·관리를 위한 적극개입 전략」(한국보건의료연구원 설아람 박사), ▲「소아·청소년 비만 대책으로서 설탕세 도입」(연세대학교 박은철 교수)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패널토의에서는 국내 비만 관련 학회 전문가, 소비자단체, 언론계 및 관계부처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다각적인 대책을 논의한다.
* (주요 패널) 대한비만학회 부회장 정소정 교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김재현 교수, 한국소비자연맹 강정화 회장, 머니투데이 차장 정심교, 복지부 건강증진과 과장 정혜은 및 국립보건연구원 만성질환융복합연구부 김원호 부장
포럼은 유튜브로 생중계 될 예정이며 국립보건연구원 누리집*을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국립보건연구원 누리집 (https://nih.go.kr) > 알림자료 > 공지,공고,공시 > 일반
한편,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소아·청소년기 비만 예방관리를 위한 아동·청소년 고도비만 중재 시범 연구를 통해 장기적 비만 관리를 위한 비만 중재 교육 도구 제작 배포 및 학교기반 비만 예방 프로그램 운영 가이드라인을 발간한 바 있다.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원장은 "소아·청소년기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비만에 대한 인식개선, 또래 관계 어려움 및 음식 중독 등의 사회·심리적 문제가 동시에 해결되어야 하며, 소아비만 예방·관리에 대한 전문적 관리를 위해 다학제, 다기관 협력을 통한 예방관리 근거 생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붙임> 소아·청소년 비만 현황과 대책 포럼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