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자체 개발 스마트 재활 기술 민간 이전
- 국내 4개 민간기업과 국가직무발명특허권 통상실시 계약 체결 -
- 기술이전으로 재활 기술 상용화 기대 -
- 9월 4~6일, 부산광역시 주최 「2025 글로벌헬스케어위크」에서 시제품 전시 예정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2025년 상반기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신체적 건강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체 연구·개발한 재활 기술을 국내 4개 민간기업*에 기술이전 하고자 국가직무발명특허권 통상실시** 계약 체결을 완료하였다.
* 1) 리파인㈜ 2) ㈜파티오, 3) ㈜하루하루움직임연구소 등
** 특허권자 등이나 전용실시(사용)권자와의 계약에 의하여 또는 법률이나 행정처분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에서 특허발명 등을 실시(사용)할 수 있는 권리
이전한 기술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내부과제*를 통해 연구·개발한 ▲몸통 운동 보조 및 피드백 장치 ▲보행재활과 자세교정 보조 기능성 신발 ▲발목재활 운동장치 ▲운동능력평가척도 평가기반 맞춤형 재활운동 제공 시스템 등 4종의 스마트 재활기기 기술이다.
* (연구과제명 약칭) 1) 유니버설 운동 보조 장치 개발[연구책임자: 권효순 과장, 배영현 연구관], 2) 보행 패턴 묘사 하지 운동로봇 개발[연구책임자: 배영현 연구관] 3) 3자 간 공유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건강코칭 방법 개발 및 검증[연구책임자: 호승희 소장, 배영현 연구관]
4종의 스마트 재활기기 초기 시제품은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최한 '제30회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에서 선보여 기업들에 큰 호응을 받은 바 있고 개선된 시제(상용)품은 부산시가 주최하는 2025년 글로벌헬스케어위크에 9월 4일(수)부터 6일(금)까지 3일 동안 전시할 예정이다.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초고령사회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자체 연구개발한 재활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는 것은 국가기관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앞으로도 실제적인 사업화 성과를 지속해서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호승희 소장은"향후 민간기업 입장에서 재활연구소연구개발 성과물의 기술이전 과정에 대한 편의제공을 강화하고 기술 수요 기업 발굴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민간기업 기술이전 재활기술 제품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