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주택 피해 입주민에 ‘보증금 선지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종로구, 156년 만에 ‘서울 문묘와 성균관’ 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강남 양재천에서 즐기는 ‘별빛 요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주민들 지친 몸과 마음 치유하는 양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농촌진흥청,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디지털 농업기술 혁신 공동 연수(워크숍) 개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8월 5~6일 인천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농업기술협력위원회 개최


- 기후변화 대응 및 식량 생산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농업기술 논의


- 아태지역 경제협력체의 디지털 농업기술 정착 확대 및 역량 강화 목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3차 고위관리회의(SOM3) 식량안보주간(8.4.~10.)에 디지털 농업기술에 관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농업기술협력위원회(ATCWG)* 공동 연수(워크숍)가 열렸다.


* ATCWG(Agricultural Technical Cooperation Working Group, 농업기술협력실무작업반): 농업 및 관련 산업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농업, 생명공학, 동식물 및 생물유전자원 관리 분야의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된 식량안보장관산하 회의체


농촌진흥청은 8월 5일과 6일 인천 송도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식량 생산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농업기술에 관한 공동 연수(워크숍)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 연수에서는 디지털 농업기술의 우수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확대 적용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우리나라 농업기술을 체험하는 기회도 제공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농업기술협력위원회 대표단을 비롯해 학계, 산업계 등 관계자 약 70명이 참석해 첫날 학술 대회(컨퍼런스)에 이어 둘째 날에는 현장 견학 및 종합 토론을 벌였다.


첫째 날 학술 대회는 3개 분과로 나눠 ▲기후변화 대응 강화를 위한 디지털 농업기술 및 적용 사례 ▲식량안보를 위한 디지털 농업기술 및 적용 사례 ▲디지털 농업기술의 한계 및 도전 과제를 주제로 한국, 일본, 호주, 중국 등의 회원국 발표가 있었다. 


둘째 날에는 국립농업박물관을 방문해 우리나라 농업기술 발전사를 체험하고, 미래 식량주권 및 생물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유전자원을 안전하게 중복 보존하고 있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중부지소를 견학했다. 


이어 종합 토론 시간에는 아태지역 디지털 농업기술의 혁신적 발전과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기술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동 플랫폼 구축과 교류의 장(場)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공동 연수에서 디지털 농업기술이 식량안보주간 주제인 '공동번영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 혁신 강화(Driving Innovation in Agri-food Systems for Shared Prosperity)'를 실현하는 핵심 동력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아태지역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농업기술 확산 및 농업인 역량 강화 기반을 마련하겠다."라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원국들과 다양한 연구개발(R&D)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우리나라의 우수한 디지털 농업기술을 널리 알려 디지털 농업 선도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게 역량을 발휘하겠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지역 곳곳 목소리 전달… 대한민국 전체 바꿀 것”

기초단체장 최초 민주당 대변인 맡은 김미경 은평구청장

‘핫플’ 성수, “1.5조 동네 됐네”

10년 만에 연 경제 가치 3.5배 늘어 외국인 300만명 방문… 50배 급증 기업 유치·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정원오 성동구청장 “정책적 결실”

축제 사고율 0%… 중랑 안전관리 최우수상

AI로 인구 밀집도·혼잡 선제 조치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