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강우 잦은 안동 수확 직전 발병
“사전 방제 철저히”… 확산 차단 나서
지난 3월 초대형 산불피해로 경북 북동부지역 과수농가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탄저병까지 발생, 재배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안동·청송·영양·영덕·의성 등 경북 북동부 산불 발생 5개 시군의 지난해 사과 재배면적이 9362㏊로 전국 면적 3만 3000㏊의 28%를 차지해 이들 지역 사과밭에 탄저병이 발생해 확산될 경우 막대한 추가 피해가 불가피해진다.
안동시는 최근 폭염과 잦은 강우로 인해 사과밭에 탄저병 추가 발생 및 확산이 우려됨에 따라 철저한 사전 방제를 당부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시는 지난달 수확을 앞둔 일부 사과밭이 탄저병에 감염된 사실을 발견하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영주, 청송, 의성 등 인근 시군도 탄저병 예방을 위해 이달부터 집중 방제와 철저한 과수원 예찰을 시작했다.
사과 탄저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주로 발생하는 곰팡이병이다. 초기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표면이 움푹 들어간 뒤 원뿔형으로 부패가 진행되는 게 특징이다. 전염성도 강하다.
안동시는 탄저병이 눈에 보일 경우 약제살포만으로 방제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전 방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탄저병 감염 사과가 발견될 경우 따로 분류해 과수원 밖에 묻어야 하고, 살균제를 살포해야 한다. 약제 살포방식은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경북은 지난 3월 말 발생한 산불로 사과밭 1560㏊가 불에 탔다. 이어 3월 말∼4월 초 과수꽃이 피는 시기에 나타난 이상저온으로 총 6566.3㏊에 피해가 발생했다. 이 중 사과가 5004.1㏊나 된다. 5월 28일엔 우박이 5∼20분 동안 떨어져 사과밭 84㏊에 피해가 생기기도 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